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국의 트럼프 2.0 시대의 시작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국채 투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30년국채ETF도 좋지만, 오늘은 국내에 상장된 미국국채ETF에 대해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1. 국내 상장 미국채ETF의 핵심 투자 가치
✅미국채ETF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받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 인하 시 채권 가격 상승으로 인한 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만기가 긴 장기채일수록 수익률이 더 높은 특징이 있으므로 미국30년국채에 관심이 많이 쏠리고 있습니다.
✅매월 분배금 수령이 가능하며, ISA나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절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2. 국내 상장 미국 30년 국채 ETF 비교 분석
현재 국내 시장에는 다양한 미국30년국채ETF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3가지를 보자면,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는 1조 9천억 원대의 압도적인 자산규모를 자랑하며, 연 4.15%의 배당수익률과 0.1572%의 낮은 총 보수가 특징입니다.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는 3,492억 원대의 자산규모, 연 3.14%의 배당수익률, 0.1048%의 파격적인 저렴한 총 보수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는 1조 2천억 원대의 자산규모, 0.8739%의 총보수,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연 12.88%의 높은 배당수익률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커버드콜 전략은 미래의 이익을 당겨오는 개념이므로 주가 상승기에 다소 불리해집니다. 그러니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게 되면 자본 차익을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국내 상장 미국채ETF 투자 시 주의사항
ETF 투자 시에는 몇 가지 중요한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국채를 직접 매입하면 만기가 있으며, 만기까지 보유 시 원금보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채권ETF는 만기가 없어 원금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운용사가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조정하면서 시세차익과 분배금 수익을 추구합니다.
✅운용수수료와 분배금에 대한 배당소득세(15.4%)가 발생하며, 환헤지 여부에 따른 환율 리스크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국내 미국 30년 국채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
성공적인 미국 장기채ETF 투자를 위해서는 명확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금리 인하 시 차익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면 ACE나 KODEX의 채권ETF
✅안정적인 월배당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TIGER의 커버드콜 채권ETF
✅투자는 분할 매수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하고, 정기적인 리밸런싱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미국국채가 안전자산이지만 올인 투자는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을 정하고 그 중에서 장기채에 비중은 얼마로 할 것인지 정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5. 국내 상장 미국채ETF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입니다. 특히 현재와 같은 고금리 상황에서는 더욱 관심을 가질 만합니다. 하지만 미국이 금리가 높으니 이제 무조건 금리 인하를 할 것이라고 예측해 올인하는 투자는 지양해야 합니다. 금리가 유지되면 월배당을 받으며 버티다가 금리가 인하되면 시세 차익도 함께 거두겠다라고 생각하며 자산배분 차원에서 미국 장기채 ETF의 특성과 리스크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목적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